건설사업의 종류
- 산업시설물 (Industrial Project)
- 약 5 ~ 10%
- 석유화학, 정제, 화력, 원자력 발전소, 제련, 알루미늄 공장 등
- Turnkey, Negotiated DB 방식으로 수행됨.
- 기간산업 (Heavy Engineering Project)
- 약 20~25%
- 댐, 터널, 교량, 철도, 공항, 고속도로, 하수처리장치 등
- 장비 집약적이고 대규모 토목사업이나 공공기관 주도로 이뤄짐. - 빌딩건축 (Building Project)
- 약 35~40%
- 상점, 복합단지, 대학, 병원, 교회, 사무소, 창고 등 비주거 환경공간
- 민간에서 자금조달 - 주거건축 (Residential Project)
- 약 30 ~ 35%
- 단독주택, 다세대주택, 아파트, 콘도미니엄 등
- 소규모로 진행되어 조립식 주택과 같이 사전제작(Pre-fabrication)화 되고 있음.
건설사업의 특수성
1. 일품 수주 생산
- 동종의 공사라도 내용면에서 동일한 공사는 없다.
- 타인의 의뢰로 생산활동을 전개하는 선판매, 후생산 형태를 취함.
2. 옥외 이동 생산
- 토지와 고착 관계가 있어 현장을 중심으로 옥외에서 행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.
- 현장 조건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. 기상조건, 지역적인 환경 등.
3. 인력 의존 생산
- 타 산업에 비해 기계화, 자동화 비율이 현격히 떨어진다.
4. 다층 하도급 생산
- 실질적으로 상당 부분을 하도급으로 수행되고 있다.
5. 다공종 복합 생산
- 하나의 대상물을 완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공종이 다양하다.
6. 설계, 시공 분리 생산
-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선 설계, 후 시공방식을 취하고 있다.
7. 대형 장기 생산
- 일반 제조업에 비해 단위 생산규모가 크다.
- 공정의 선후관계에 따라 병행 작업이 어려워 공가기 길다.
8. 경기의존 생산
- 수주 산업이므로 발주자의 동향에 크게 의존한다.
건설사업의 저생산성의 원인
1. 제품 특성 상의 원인
- 형태, 규모 등이 건축물마다 상이함.
- 요구되는 설계 품질의 다양성.
2. 생산 특성 상의 원인
- 다양한 인력과 장비, 자재 공법 등에 의한 복잡하고 일회적인 생산 특성.
- 작업 내용이 표준화되지 않아 작업방법이 불안정함.
3. 고용 특성 상의 원인
- 노동 인력의 유동성이 심하고 고용이 불안정함.
- 젊은 신규 인력의 기피로 기능인력의 고령화, 저기능화
4. 기술 특성 상의 원인
- 노동집약적인 성격이 강한 생산방식
- 자동화, 기계화 등의 어려움
5. 관리 특성 상의 원인
- 다양한 직종으로 인해 노무관리의 어려움
- 건설현장 내의 정리정돈 상태 불량
6. 환경 특성 상의 원인
- 기상조건 및 기후에 많은 영향을 받음
- 교통제한 및 진동, 소음, 먼지 등에 대한 규제가 강함
건설사업의 이해관계자
- 발주자(Owner)
- 건설사업을 시행하는 사업시행자로서 사업시행에 드는 모든 비용을 투자하고 완성된 공사를 인수하여 소유 및 운영하거나 처분하며, 도급계약으로 실시되는 공사에서 계약의 당사자가 된다.
- 정부, 정부투자기관, 각급 지방자치단체 등 - 설계자(Engineering Design Company)
- 사업주와 설계용역계약을 체결하고 설계업무를 수행하는 기술용역회사로서 설계자의 업무 범위는 계약에 따라 실시설계, 계획조사, 공사감리 등의 업무를 할 수 있다.
- 엔지니어링업체, 건축사무소, 기술사사무소 등 - 시공자(Construction Company)
- 공사 도급 계약에 의해 공사의 시공을 수행하는 책임을 지며, 설계와 시공을 일괄하여 도급하는 경우에는 설계 업무를 동시 수행한다.
- 종합건설, 전문건설 등 - 감리자(Inspector)
- 공사 현장에서 발주자를 대신하여 시공자의 시공을 감독하고, 공사의 기성과 중공을 확인하며 설계도서에 따라 정확하게 수행되도록 감독한다.
- 기술사사무소, 엔지니어링업체, 건축사사무소 등 - 건설사업관리자(Construction ManagementGroup)
- 발주자를 대리하여 공사를 감리하거나 관계자 사이에서 공사의 원활한 수행을 위하여 조정과 통제 등 제반 업무를 수행한다.
- 벡텔, 한미글로벌, 업체별부서 등
'국가기술자격증 > 건축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건설 현장에서 알아야 할 QA, QC, QM의 차이와 의미 (0) | 2024.11.07 |
---|---|
건설관리 건설 생산 시스템 정리 -4편- (0) | 2022.07.14 |
건설계약, CM 계약 정리 -2편- (0) | 2022.07.12 |
건설관리, CM 뜻 및 의미 (Construction Management(CM)) -1편- (0) | 2022.07.11 |
TBM 뜻 (0) | 2021.04.26 |
댓글